특정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JDK를 전역화 해보자
/usr/local/java
에 JDK를 넣어야 하는데..
우선 dir를 만들고 확인하자.
확인할 때
ls /usr/local/
하고 TAB을 누르면 된다.
nano 로 /etc/enviorment 편집할때
sudo가 아니면 저장할때 권한 거절 뜬다.
작성중 경로가 기억이 안난다면 ctrl+z를 누르면 background로 돌아간다.
다시 돌아가고자 한다면 fg 1 을 치면 된다.
environment 를 적용시키는 방법 2가지.
1. 재 로그인 2. source /etc/environment
2번을 적용하면..
echo $PATH 를 통해서 확인하면 자신의 경로가 안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.
이건 ~/.profile을 못읽어서 그런 것인데..
이걸 다시 읽을 수 있도록 하면 된다.
source ~/.profile
데비안 패키지 설치 관리자 : debian pakage install administrator
wget url 쓰는 것을 간편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.
wget http://kr.archive.ubuntu.com/ubuntu/pool/universe/t/tree/tree_1.8.0-1_amd64.deb
sudo dpkg -i tree_1.8.0-1_amd64.deb
-하면
설치가 된당
아주 좋다!
dpkg -l // 설치된 목록
dpkg -l tree // tree 설치 유무
dpkg -L // tree 설치된 곳 (bin 설치파일, share 문서파일)
sudo dpkg -r tree // 실행파일만 지움
sudo dpkg -P tree // 설정까지 지움
APT : Advanced Package T
apt-cache pkgnames | grep jdk
apt-cache search jdk | grep jdk
sudo apt-get install open-jdk-11-jdk
whereis java // 11이 설치되었다고 8이 없어진건 아니다.
ppa : 원격에 있는 리스트를 이용해서 파일을 다운로드
add-apt-repository ppa:openjdk-r/ppa // 소스 리스트 다운
sudo apt-get update // 다운받은 리스트를 설치
sudo add-apt-repository ppa:webupd8team/java // 오라클 자바 목록 리스트 업뎃
apt-cache pkgnames | grep oracle | grep java
update-java-alternatives -l // 설치된 java 리스트
update-java-alternatives -s 바꿀_jdk
-로 하면 바뀐다
sudo update-alternatives --config editor // editor 선택 가능
sudo update-alternatives --install ~/bin/bb bb ~test1.sh // 명령어 대안 등록하기
sudo update-alternatives --install ~/bin/bb bb ~test2.sh
update-java-alternatives -all 로 여러 명령어 대안들 확인 가능
update-java-alternatives 로 한번에 다 바꿀 수 있다.
dpkg -s telnetd // telnet 설치되어있는지 확인
apt search telnetd
sudo apt install telnetd
* 참고로 bionic은 ubuntu 18.04의 코드네임이다.
리눅스 명령어 ifconfig으로 리눅스의 주소를 알수있다. (inet)
문제는 저 inet 부분이 사설ip란 것인데..
공유기의 안쪽이 아닌 바깥쪽 같은 부부인 것이다.
예를들어 저 화면의 192.168.0.3 화면에서 접속하려면.. VM의 리눅스로 접속하려면
IP뿐만 아니라 포트포워딩 기능을 통해서 내부의 리눅스로 연결시켜줄 다리가 필요하다.
ipconfig 으로 알아낸 ip로 로그인할 수 있다.
하지만 Telnet은 크게 두가지면에서 보안이 취약하다.
1. IP spoofing (속이다)
위 그림에서와 같이 제2의 사용자가 IP를 속이고 들어올 수 있다.
그러면 서버에서는 이것을 분간할 수 없다.
2. DNS poisoning (중독)
DNS는 학습을 하는데 옆에 다른 서버가 해당 도메인을 자기 IP로 학습시킬 수 있다.
이런거에 추 ㅣ약함.
그런걸 막으려면 위와 같이 키를 나눠 가지면 된다.
그러면 다른 컴터가 끼어 들어도 다른 한쪽의 키 조각을 모르기 때문에 조립이 안된다.
ssh 접속하기
service --status-all
위 명령어로 ssh가 설치 안되었으면 아래 명령어로 설치한다.
sudo apt-get install ssh
sudo apt install openssh-server
-로 ssh-server를 설치할 수 있다. (근데 아마 깔려있을 듯)
이제 ssh 클라 설치하구 포트포워딩만 시켜주면된다.
요기서 깜짝뽀디 뿌띠를 다운받자.
FTP 사용하기
sudo apt install vsftp
service --status-all | grep ftp // ftp 설치유무 확인
기본적으로 윈도에서 ftp 클라 기능을 제공한다.
위처럼 되면 다시 아래처럼 셋팅해주자!
근데 cmd가 ls등의 명령이 잘 안먹힌다.
powershell로 해보자.
shell이 아닌 ftp의 명령어 이용 가능
나갈때는 close 후 ! 를 타이핑
파일 올릴땐 put 여러개 mput
다운 get, mget
클라의 현위치의 파일리스트보기 !dir
근데 요샌 또 ftp를 사용안하고
ssh 22번을 통해서 파일도 셸도 날릴 수 있다.
이걸로 FTP GUI로 이용가능하다. 좋당
위처럼 파일질라처럼 GUI환경이 제공된다. 그리고 드래그 앤 드랍으로 이동 가능.
USB 마운트하기
컴퓨터에 꼽는 USB는 우리 OS랑 연결이 되지 VM의 리눅스랑 연결되지는 않는다.
이걸 하게 해주려면 툴을 다운받아야한다.
(5.2. x86 기준으로 아래의 extension packs을 설치하면 된다.
www.virtualbox.org/wiki/Download_Old_Builds_5_2
옛날에는 /mnt (mount)를 이용해서 마운트를 했으나 요새는 /media를 사용한다.
/media/에 usb 폴더를 만들고 마운트해보자.
lsblk로 sdb에 USB가 잡힌 것을 확인할 수 있다. 해당 내용은 /dev/sdb1에 있다.
sudo mount /dev/sdb1 /media/usb
이제 ls 로 확인해보면 마운트 된 것을 알 수 있다.
언마운트는
sudo umount /media/usb
-를 통해서 할 수 있다.
톰캣쨩 설치하기
톰캣을 다운받아 ftp를 통해서 우분투로 넘기자.
톰캣을 /usr/local/tomcat/...
-에 옮겨두자 (압축해제 : tar -zxvf ...)
그리고 ../bin/startup.sh 를 통해서 확인해보자
w3m http://localhost:8080/
을 통해서 로컬 실행
(없으면 sudo apt install w3m)
history | tail -100 | less
-> history 100 | less
사용자 그룹 설정하기
sudo groupadd tomcat
sudo usermod -a -G tomcat philz
cd /usr/local/tomcat
sudo chown -R root:tomcat apache-tomcat-9.0.45/
startup.sh 하면 안될 것이다.. 밑에 권한 문제들!
sudo chmod -R g+w logs/
다시 startup.sh 하면 이번엔 되는데.. 실제로는 실행이 안됨
sudo chmod -R g=rx conf/
재로그인 대신
source /etc/environment
source ~/.profile
톰캣 80번 호트 사용하기 (authbind)
특정 IP 찾기
netstat -ano | find "80"
netstat -ano | find "127.0.0.1:80"
해당 프로세스명 확인
tasklist /fi "pid eq 4464"
프로세스 강제 제거
taskkill /f /pid 4464
sudo apt install authbind
cd /etc/authbind/byport
touch 80
cd 톰캣/bin
sudo nano startup.sh
그리고 톰캣 재기동
그럼 된다구 하지만
난 예전에 깔았던 저게 나온당.. =-=
bitnami를 종료해보았지만.. 마찬가징
'Infra, DevOps > Linux, Shel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VMware 설치 과정 및 필요한 앱들 기록 (1) | 2024.01.19 |
---|---|
뉴렉쳐님 강의록, adduser, chmod, $PS1, $LS_COLORS, profile (0) | 2021.04.04 |
리눅스 뉴렉쳐님 강의록 find, grep, ls, cmp, tar, nano, $PATH (0) | 2021.03.15 |
리눅스 뉴렉쳐님 강의록 cd, vi, alias (0) | 2021.03.15 |
리눅스 뉴렉쳐님 강의록 : linux, login (0) | 2021.03.15 |
hi hello... World >< 가장 아름다운 하나의 해답이 존재한다
포스팅이 좋았다면 "좋아요❤️" 또는 "구독👍🏻" 해주세요!